2022. 9. 29. 18:19ㆍ코딩/FRAMEWORK
maven- 기존에 인클루드로 다른데이터를 불러오는것을 자동으로 연결해줌
pom.xml - 기존에 gson, json을 받아서 쓰는걸 문서식으로 연결
SPRING에 버전이 4.~~ 대가 있고 3.~~ 대가 있다.
spring boot랑 spring이 있는데 boot버전이 더 쉽지만
프로젝트를 진행하면서 데이터를 찾기에는 spring이 찾기가 쉬울뿐더러
spring을 먼저 배우고 boot를 배우면 금세 익힐수있으나
boot부터 익히고 spring을 익히면 어렵기 때문에 3.~~ver(spring)을 배울것이다.
1.DI : 파일을 @식으로 직접 가져올필요없이 대신 처리를 해준다.
2.Spring AOP : 여러 모듈에서 공통으로 필요한 기능을 분리하여서 관리
3.Spring JDBC :
4.Spring MVC
--세팅--

압축해제
메이븐 폴더에 repository 생성

conf폴더에 들어가서
setting.xml을
vsCode 프로그램으로 열어서 세팅
53번줄에 주석을 복사해서
주석 밖인 55번줄에 붙여넣기
그후 만들었던 repository 폴더를 열어서 경로를 복사한후 안에 적는다

좀전에 만든 repository 폴더로 저장경로를 세팅해주는 것이다.
저장을 하고난뒤
번들로 들어가서 sts 폴더에 들어간다.
STS.ini파일을 vscode로 연다
그후 저장된 java 를 찾아서 jre>bin 에 들어가서 경로복사
열어던 파일 6번줄 아래에
-vm C:\Program Files\Java\jre1.8.0_144\bin\javaw.exe 를 추가해준다.
javaw.exe 가 자바를 실행해주는것이다.
세팅을 했으면
STS.exe파일을 실행, 설치




서버 톰켓 경로 지정


서버추가
처음에 세팅한 메이븐 경로 지정

--프로젝트 생성
레거시 프로젝트중 MVC프로젝트를 하겠다고 체크

그후 finish가 아니라 next

기본 패키지 경로
지정후 finish
pom.xml에서 Overview를 보고 사용할 버전으로 수정


프로퍼티스에서

자바버전 바꾸고

톰캣 8.5쓰겠다고 체크하고 저장하고 닫기
lib폴더를 만들고 파일 추가


서버세팅
1.sts, maven은 처음 설정시
1)maven 폴더에 라이브러리 저장할 폴더생성
2)maven 설정파일에서 폴더 지정
3)sts.ini에 자바 버전 명시
-------------------> sts 실행
4)인코딩 설정, 서버설정
5)maven 설정 파일 읽기
2.프로젝트 생성시마다 할일
1) 새 프로젝트생성(Spring Legacy Project)
->Spring MVC Project 선택
->기본패키지 지정
2)기본라이브러리를 다운로드
3)버전변경
-pom.xml에서 java버전,Spring버전 설정
-프로젝트 속성에서 java버전,서버설정
4)webapp/WEB-INF/lib/ 폴더 에 jstl라이브러리 추가

패키지 및 클래스 지정
스프링의 경우 기존에 서버를 돌리는것보다 무겁게 돌아간다.
그래서 전부 돌리지 않고 필요한것만 돌리게 하는데 필요한 명령어가
@Component 이다
사용할 클래스 이름 위에 붙이면된다.

스프링과 관련된 파일은 아이콘 우측 상단에 s 가 생기는데
@Component 를 붙여도 스프링 마크가 생긴다.
'코딩 > FRAME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03_Spring_Mybatis(ajax) (0) | 2022.10.11 |
---|---|
04_Spring_AOP (0) | 2022.10.11 |
03_Spring_Mybatis_member_map(trim,collection,CDATA) (0) | 2022.10.09 |
Mybatis (0) | 2022.10.06 |
Spring[CRUD] 라이브러리 세팅 (0) | 2022.09.30 |